계약서는 단순한 문서가 아니라, 계약 당사자 간의 권리와 의무를 명확하게 정리하여 분쟁을 예방하는 법적 장치입니다.
하지만 계약을 체결할 때, 어떤 내용을 포함해야 하는지 제대로 정리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 "이 계약서, 업무 범위가 명확할까?"
✔ "계약 기간을 어떻게 설정해야 할까?"
✔ "계약 금액과 지급 조건을 정확히 적어야 분쟁을 막을 수 있을까?"
계약의 핵심내용은 크게
✔ 계약의 주된 업무의 내용
✔ 계약기간
✔ 계약금액 및 지급조건
으로 나누어 생각해볼 수 있습니다.
통상 계약의 내용은 해당 계약이 존재하게된 주된 이유이기도 하기 떄문에 가장 신경써서 작성을 해야하는 부분입니다.
아울러 통상 기업에서는 다른 조항들은 표준 조항들을 만들어 놓고 계약의 내용만 변경하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이 글이 유익하시라라 믿습니다.
1. 업무 범위 (Scope of Work) – 업무 내용이 명확해야 분쟁을 예방할 수 있다.
계약서에서 가장 중요한 조항 중 하나는 업무 범위(Scope of Work)입니다.
업무 범위가 모호하면, 계약 당사자 간에 기대하는 결과물이 달라지면서 책임 문제나 비용 관련 분쟁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만약 구체적인 견적서 제안서가 있다면 이를 별첨으로 추가하여서 보다 구체적으로 업무범위를 정하는 것도 좋습니다.
📌 업무 범위를 정할 때 반드시 포함해야 할 사항:
✔ 업무의 구체적인 내용 (예: 컨설팅, 제품 개발, 마케팅 대행 등)
✔ 업무 수행 방식 및 절차 (예: 1차 시안 제출 후 피드백 반영, 검토 과정 등)
✔ 계약 대상 및 범위 제한 (예: 특정 프로젝트에 한정되는지, 추가 업무는 별도 계약인지)
💡 TIP:
👉 "○○ 업무를 수행한다"처럼 모호한 표현은 피하고, 정확한 범위를 명시해야 합니다.
👉 계약의 범위를 넘어서는 추가 업무가 발생할 경우, 별도의 계약을 체결해야 한다는 조항을 포함하는 것이 좋습니다.
작성예시 -

2. 계약 기간 (Contract Period) – 계약의 시작과 종료 시점을 명확히
계약서에는 반드시 계약의 유효 기간을 명시해야 합니다.
계약 기간이 명확하지 않으면, 계약 해지 시점이나 갱신 여부를 두고 분쟁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매년 갱신이 필요한 계약의 경우에는 자동 연장 조항을 포함시키면 보다 편하게 계약을 관리할 수 있습니다.
📌 계약 기간 설정 시 고려해야 할 사항:
✔ 계약 시작일(Start Date)과 종료일(End Date)을 명확하게 기재
✔ 자동 연장 조항 여부 설정 (예: 일정 기간 후 자동 갱신 또는 갱신 거절 가능)
💡 TIP:
👉 "계약은 ○○일부로 시작하여 ○○일까지 유효하다"라는 문구를 반드시 포함하세요.
👉 계약 해지 시, 상대방에게 사전 통보 기간(예: 30일 전 통보)을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작성예시 -

3. 계약 금액 및 지급방법 (Payment Terms) – 돈 문제는 꼼꼼하게 정리해야 한다.
계약서에서 가장 많은 분쟁이 발생하는 부분이 바로 계약 금액과 지급 조건입니다.
이 부분이 명확하지 않으면, 비용 지급 시기나 지연 위약금 문제로 법적 분쟁이 발생할 가능성이 큽니다.
특히 분쟁이 많이 발생하는 영역이 1) 부가세가 포함된 것인지 여부 2) 통화단위 3) 달러지급인 경우 환율 등입니다.
따라서 계약금액 및 지급방법 만큼은 반드시 명확하게 작성하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계약 금액을 명시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
✔ 총 계약 금액(부가세 포함 여부 명확화)
✔ 지급 일정(선금·중도금·잔금 비율 및 지급 기한 설정)
✔ 지급 방법(계좌이체, 수표 등) 및 통화 단위(원화, 달러 등) 명시
💡 TIP:
👉 "총 계약 금액은 ○○원이며, 선금 30%, 중도금 40%, 잔금 30%로 나누어 지급한다."와 같이 대금을 분할하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 통상 부가세는 포함하지 않는 것이 관례입니다.
작성예시 -

결론: 계약의 핵심 내용 3가지, 반드시 점검하세요!

📌 1. 업무 범위(Scope of Work) – 계약에서 수행할 업무를 명확히 설정
📌 2. 계약 기간(Contract Period) – 계약의 시작과 종료 시점, 해지 조항을 명확히 기재
📌 3. 계약 금액 및 지급 조건(Payment Terms) – 계약 금액, 지급 일정 및 지연 시 위약금 설정
✔ 계약서는 비즈니스의 중요한 법적 문서입니다.
✔ 잘못된 계약서 작성은 비용 손실뿐만 아니라, 법적 분쟁으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 계약을 체결하기 전에 반드시 전문가의 검토를 받는 것이 안전합니다.
📌 내 곁의 법무팀, 법률사무소 온직을 찾아주세요.

법률사무소 온직은 대기업 법무팀 출신 변호사가 직접 계약서 작성 및 법률 검토를 도와드립니다.
🔹 기업 계약서 작성 및 리스크 검토
🔹 지적재산권(IP) 보호 및 결과물 귀속 조항 검토
🔹 계약 분쟁 예방을 위한 맞춤형 법률 컨설팅
🔹 회사 맞춤형 표준계약서 서식 자문
모든 사장님들에겐 법무팀이 필요합니다.
내 곁에 법무팀, 법률사무소 온직을 찾아주세요.
아래 카카오톡 링크를 클릭하셔서 스타트업 법률과 관련된 질문을 주시면 대표변호사가 직접 답변해드립니다. 상담 필요하시면 언제든 연락주세요!
http://pf.kakao.com/_xgxgVTn/chat
법률사무소 온직
pf.kakao.com
📌 법률 전문가의 도움을 받아, 안전한 계약을 체결하세요!
'기업 관련 법무 > 기업법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계약서 작성 실무 3: 영업비밀 보호 조항, 왜 중요한가? (1) | 2025.03.10 |
---|---|
계약서작성실무 - 1. 계약서의 첫단추, 전문과 계약목적 작성법 (0) | 2025.03.04 |
회식비 전가와 참석 강요, 불법인가요? 직장 내 괴롭힘 법적 대응법 (0) | 2025.03.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