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기업 관련 법무/공정거래11

[하도급법 가이드라인] 우리도 하도급법 적용 대상일까? 자동차 하청업체의 법적 보호 요건 “우리는 협력사일 뿐인데, 법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을까요?” “저희는 2차 벤더고요. OEM 납품은 아니고, 1차 벤더를 통해 들어가는 구조입니다.”“계약서 없이 납품한 적도 많고, 기술자료 요구도 종종 있었어요. 근데 이런 일이 생겨도, 우리 같은 하청 업체도 법적으로 보호받을 수 있을까요?”​자동차 산업에 종사하시는 협력사 실무자분들이 자주 던지시는 질문입니다.특히 금형, 단가, 기술자료, 납기, 반품 문제 등 복잡한 상황이 얽힐수록 “우리는 그냥 을(乙)이지, 법 테두리 바깥일 거야…” 라고 체념하게 되기 쉽습니다. 하지만 그건 절반만 맞고, 절반은 틀립니다.제조하도급 구조에서 하도급법이 실제로 어디까지 적용되는지 알아두면 하도급법을 활용하여 원사업자에 대항할 수 있는 힘을 확보하여 사업의 위험을 .. 2025. 6. 30.
[하도급업체 필독] 하도급 대금 감액, 대응 안 하면 손해입니다 - 하도급법 제11조 관련 부당 대금 감액 법적 대응 가이드 ​안녕하세요, 법률사무소 온직 공정거래센터입니다:) ​하도급업체를 운영하거나 실무를 맡고 계신다면, 한 번쯤은 원사업자가 경제 사정, 자재 단가 하락, 경영 적자 등을 이유로 하도급 대금을 감액해달라고 요구해왔던 경험이 있으시리라 생각합니다. ​그런데 원사업자가 위와 같은 이유로 이미 정해진 하도급 대금을 일방적으로 줄이자고 요구해온다면, 그건 하도급법 위반일 가능성이 매우 높습니다.​문제는 많은 업체들이 이런 요구가 불법이라는 걸 알면서도 대응하지 못한다는 점입니다. “거절하면 거래가 끊길까 봐…”라는 걱정 때문에 결국 법적으로 받을 수 있는 정당한 대금을 포기하게 되는 것이죠.​오늘은 하도급법 제11조를 중심으로, 어떤 감액 요구가 ‘정당하지 않은 부당 감액’에 해당하는지, 그리고 하도급업체가 ​실제.. 2025. 6. 29.
백종원의 더본코리아 논란 - 백석된장, 한신포차 낙지볶음 사례로 알아보는 표시광고법 이슈 최근 더본코리아의 ‘백석된장’이 농지법 위반 논란에 이어 ‘한신포차 낙지볶음’의 원산지 표시 논란까지 불거지면서 소비자들의 공분을 사고 있습니다.이번 사건은 단순한 원산지 문제를 넘어 농지법과 표시광고법 위반 가능성까지 제기되며, 법적으로 상당한 쟁점이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이는데요.이번 사건을 바탕으로 표시광고법 위반 이슈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출처 조선비즈 기사 https://v.daum.net/v/20250312172443980​1. 사건의 정리 - 표시는 외국산 홍보는 국내산? 최근 원산지와 관련해 논란이 일었던 더본코리아가 다시 원산지 표기 논란에 휩싸였습니다. 조선비즈의 기사를 요약해보자면더본코리아는 온라인 쇼핑몰 더본몰에서 판매하는 ‘한신포차 낙지볶음’이 국내산 마늘을 사용한다고 .. 2025. 6. 28.
[하도급업체 필독] 직접지급청구권으로 대금 미지급 해결 안녕하세요, 법률사무소 온직 공정거래센터입니다:)​오늘은 수급사업자가 발주자에 대해 직접 대금을 청구할 수 있는 하도급법상 직접지급청구권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가상 사례로 알아보는 직접지급청구권 ​📌 문제 상황 A건설은 대형 아파트 단지를 시공하면서 원사업자인 B토목회사와 계약을 체결하였고, B토목회사는 하도급업체 C에게 일부 공사를 맡겼습니다. 하지만 B토목회사의 경영 악화로 인해 하도급업체 C에게 대금을 지급하지 못하게 되었습니다. 하도급업체 C가 대금을 지급받을 방법은 없을까요? ​💡직접지급청구권이란? 일반적인 하도급거래 구조는 발주자 - 원사업자 - 수급사업자로 이루어져있습니다. ​하도급계약이란, 원사업자와 수급사업자 간의 도급계약으로서 원칙적으로 발주자와 수급사업자 사이에는 .. 2025. 6. 27.
가맹점주님이 꼭 알아야 할 가맹사업법 : 부당 점포환경개선 강요 가맹사업법 위반행위 중 부당한 점포환경개선 강요는 실질적으로 가맹점주가 큰 금원을 지출해야한다는 점에서 가맹점주님들에게 치명적인 불공정거래행위 유형입니다. 오늘은 점포환경개선 강요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왜 멀쩡한 매장을 뜯어고쳐야 하는건가요?​1. 가맹사업법 위반 란 무엇인가?점포 환경 개선 강요란 본사가 가맹점주에게 점포 리모델링, 인테리어 변경, 시설 교체 등을 요구하며 비용 부담을 강제하는 행위를 말합니다.​가맹사업거래의 공정화에 관한 법률제12조의2(부당한 점포환경개선 강요 금지 등) ① 가맹본부는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정당한 사유 없이 점포환경개선을 강요하여서는 아니 된다.② 가맹본부는 가맹점사업자의 점포환경개선에 소요되는 비용으로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비용의 100분의 40 이내의 범.. 2025. 6. 27.
하도급법 제12조의2: 경제적 이익의 부당 요구 금지란 무엇일까? ​하도급거래에 있어서 원사업자는 기본적으로 수급사업자에 비하여 우월적 지위에 있어 수급사업자 입장에서는 원사업자의 요구를 안들어줄 수 없는 상황이 많이 생기곤 합니다. 뿐만 아니라 수급사업자가 거래기회 확보를 위해 하도급거래와 상관없는 부당한 요구를 하는 경우가 왕왕 생길 수 있습니다. 공정거래위원회는 이러한 행위를 경제적 이익의 부당요구로 규정하고 하도급법을 통해서 규제하고 있는데요 ​아래에서는 경제적 이익의 부당요구 금지의 사례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업체의 부당한 요구 갑질이라는 것은 쉽게 알수 있는데 , 과연 정확하게 어떤 법을 위반한 것일까요?​1. 경제적 이익의 부당 요구 금지란?제12조의2(경제적 이익의 부당요구 금지) 원사업자는 정당한 사유 없이 수급사업자에게 자기 또는 제3자를 위하여.. 2025. 6. 25.